[노자 - 도덕경] 제57장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서는 정도(正)로써 하고,
군사를 움직임에 있어서는 임기응변(奇)으로써 하지만,
천하를 취함에 있어서는 무사(無事)로써 해야한다.
내가 어떻게 그러함을 아는가?
다음과 같은 사실 때문이다.
무릇 천하에 금기가 많으면
백성들은 더욱 가난해지고,
사람들 사이에 문명의 이기가 많아지면
나라는 더욱 혼란스러워지고,
백성들에게 기교가 많아지면
괴이한 물건이 더욱 많이 제작되고,
법령이 복잡해지면
도둑이 더욱 많아진다.
그러므로 성인이 말하기를,
내가 무위를 행하니 백성이 저절로 교화되고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니 백성이 저절로 바르게 되고
내가 일을 꾸미지 않으니 백성이 저절로 부유하게 되고
내가 욕심을 부리지 않으니 백성이 저절로 소박해진다 하였다.
나라를 다스리는 자가 자꾸 국민을 속이고 시시때때로 말을 바꾸며 이런저런 술책을 쓰면 그 자는 곧 임금 자리에서 쫓겨난다. 나라를 다스림에는 올바름(正)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쟁에 임할 때는 상황이 다르다. 전쟁은 비상상황이고 비상한 상황에서는 비상한 행동이 요구된다. 군대를 움직이면서 자기는 끝까지 올바르고 공명정대한 정도(正道)만을 가겠다고 고집하는 자는 자기 부하들을 모두 죽음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을 수도 있다. 전쟁에 임할 때는 기(奇), 즉 임기응변이 필요하다. 이처럼 나라를 다스리는 일과 군사를 움직이는 일에는 각각의 필요한 방식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국의 일을 떠나 천하 전체를 놓고 보면 이런 방식으로 해서는 안 된다. 천하를 얻고자 하는 자는 그에 상응하는 위대한 행동거지를 보여야 한다. 그것이 무엇인가? 그것이 바로 무위(無爲)이며 무사(無事)이다.
정공법(正)도, 기습전략(奇)도 모두 유위이고 작위이다. 그것들은 각각의 영역에서 각각의 효과를 발휘하겠지만, 그러나 유위와 작위는 오래가지 못한다. 천하를 얻고자 하는 자는 어떤 형태의 것이든 유위와 작위를 뒤로 하고 무위를 실천해야 한다.